|
종교사상
|
|
불교 불교는 서기 1세기에 산동에 전해 들어왔다. 위(魏) 진(晉) 시기에 널리 퍼지기 시작하여 각지에서 민족 특색이 짙은 사묘(寺廟)와 불탑들이 많이 창건되었다. 석굴 조상과 마애(석벽에 그림, 글씨, 불상 등을 새긴 것)에 경을 새긴 것이 성행했다. 수(隋)당(唐) 시기에 불교가 한창 흥성했고 태산 일대가 산동 불교 문화의 중심지로 되어 있었다. 불교는 줄곧 고대 중국 이데올로기 영역에서 중요한 지위에 있어 왔고 청(淸)말에 이르러 점차 쇠락했다.
산동성에는 불교 석굴 조각상, 마애에 경을 새긴 것과 불교 탑의 수량이 아주 많다. 석굴 조각상은 주로 태산 기슭, 청주(靑州)의 타산(駝山)과 운문산(云門山)과 동평현의 사리산(司里山), 백불산(白佛山)등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마애각경은 주로 태산, 조래산(俎徠山) 추현(鄒縣)의 사산(四山)과 문상현(汶上縣)의 수우산(水牛山) 등 지에 분포 되어 있다. 불탑의 분포는 비교적 넓다.
제남 천불산(千佛山)의 흥국선사(興國禪寺)와 청도의 첨산사는 중국 한족 지역에서의 중요한 불교 사묘이다. 현재 산동성에 와서 조산(朝山)하거나 예불하러 온 일본, 미국, 캐나다 등 나리와 홍콩, 대만 등 지역의 불교 단체와 인사들이 많아지고 있다.
도교 산동성은 중국 도교의 발상지의 하나이다. 선진(先秦)시기에 제국(齊國) 등지에서 성행한 무술(巫術)과 신선의 술법과 불노장생의 학술은 중국 초기 도교의 양대 파벌중의 하나인 태평도의 발생에 조건을 제공했다. 한(漢) 영제(靈帝) 때 장각(張角)이 태평도(太平道)를 이용하여 황건(黃巾) 농민 대봉기를 일으켰다. 청주(靑州)와 연주 일대 백만명에 이르는 도교도가 참가했다. 위진 시기에 도교가 분화되었다. 일부는 상층에서 발전되고; 민간에서는 “通俗道敎”가 계속 유행되었다.
남북조 시기 북위 태평 진군(太平眞君)연간에 숭산(嵩山)도사 구겸지(寇兼之)는 도교를 믿는 태무제의 지지 아래 신천사도(新天師道)를 창립했다. 남조 송명제 때 려산(廬山)도사 육사정(陸修靜)이 남천사도(南天師道)를 창조했다. 도교의 계율과 의식 규범은 두 사람을 통해 개정된 이후 점차 정형화 되고 통치자가 숭상하는 정통 종교로 되었다. 북천사도(北天師道)는 산동에서 비교적 광범위하게 전해지고 있었다. 당(唐)나라 때 중국 도교가 아주 융성하고 통치자가 일련의 도교 숭배 정책을 실행하여 산동성에서의 도교 발전을 촉진시켰다.
금 원(金, 元) 시기에 왕중양(王重陽)은 교동(膠東)에서 전진교(全眞敎)를 창시했고 산동 각지에 신자들이 분포되어 있었다. 원조(元朝) 때 전진교는 국내 외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고 민간에서 비교적 큰 세력의 도교 파벌을 이루고 있었다. 명조 이후 쇠약해 졌으나 지금까지 여전히 산동성 도교의 주요한 파벌이다.
산동성에서 도교 문화 명승지가 풍부하다. 태산(泰山), 노산(勞山), 기산(沂山), 오봉산(五峰山), 곤륜산(昆崙山), 봉산(峰山) 등 도교의 명산에는 아직도 도교 문화 유적들이 수많이 남아 있다. 태산과 노산의 도교 음악 특색은 뚜렷하다. 그리고 牟平의 煙霞洞, 文登 聖經山의 月牙석각과 聖水宮, 내주 寒同山의 신선동과 大基山의 道士谷, 煙臺의 봉래각과 유황정, 기산의 동진묘 비림, 그리고 태산의 대묘 등 도교 명승지들이 높은 문물적 가치가 있어서 중점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유가와 중국고대 사상
공자가 창립한 유교 사상은 “인(仁)” 사상을 핵심으로 하고 “예(禮)”를 행위 규범으로 여기며 “중용(中庸)”을 사상 방법으로 한다. 유가는 군(君), 신(臣), 부(父), 자(子)를 핵심으로 하는 종법 등급제도를 유지하고 각 등급 간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한다. 특히 천자에서 서자(庶人)까지, 치세(治世)에서 수신(修身)까지 모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인(仁)” “덕(德)” “충(忠)” “서(恕)”를 중심으로 하는 도덕 정신을 제창한다. 유가사상 학설은 뚜렷한 정치 논리 도덕화와 논리 도덕 정치화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한무제는 동중서가 제시한 “파출백가(罷黜百家), 독존유술(獨尊儒術)”이란 방안을 채용한 후부터 유가 학설은 고대 중국 사회의 통치 사상으로 확립되었다. 그 후 유가 사상 체계 자체가 역사 발전의 과정 속에서 봉건 제도의 수요에 맞게끔 지속적인 발전과 개조를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유가 사상은 이천년의 봉건 역사에서 시종 지도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