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린성(吉林省)
|
|
지린성(吉林省)의 약칭은 길(吉), 성도는 창춘시(长春市)이다. 주나라와 한나라 때에는 행정구를 설치하였고 당나라 때에는 발해지(渤海地)에 속하고 요나라 때에는 양도(两道)에 속하였다. 금나라에 와서 양로(两路)로 나뉘어 졌고 원나라 때에는 요양행중서성에 속하였으며, 명나라 때에는 지앤저우(建州)를 여진지(女真地)으로 정했다. 1673년 청나라는 이 곳에 도시를 짓고 길림성으로 정했다. 농업이 발달한 지린성은 중국에서 유명한 식량 잉여 지역으로, 일인당 양식 점유량은 전국에서 첫자리를 차지한다. 중서부에 위치한 송원평원(松辽平原)에서는 옥수수 등 식용 작물들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특히 관동담배(关东烟) 및 인삼, 녹용, 담비 가죽은 명성이 자자하다. 임업도 발달되어 있고 자동차 제조업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지리적 위치 동북 중부에 위치한 지린성은 동경 121°38~131°17,북위 40°52~46°18에 놓여 있고 면적은 18.74만 평방 킬로미터, 해발은 약 150미터에 달한다. 이중 장백산 주봉인 백운봉의 해발은 2,691미터로, 동북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알려지고 있다.
행정 지린성은 연변조선족자치주를 포함한 창춘시(长春市), 지린시(吉林市), 스핑시(四平市), 랴오위앤시(辽源市), 퉁화시(通化市), 바이산시(白山市), 숭위앤시(松原市), 바이청시(白城市) 등 8개 지급시(地级市), 20개 현급시(县级市), 18개 현(县), 3개 자치현(自治县)을 관할한다.
기후 온대습윤가뭄계절풍기후에 속한다. 여름은 짧지만 서늘하고 피서에 좋으며, 겨울은 길고 춥다. 봄과 가을은 바람이 많다. 연평균 기온은 2-6℃, 연 평균 강우량은 400-800밀리미터에 달한다.
인구 총 인구는 2703.7만 명(2003년 기준)에 달하고 경내에는 한족, 조선족, 만족, 회족, 몽고족, 시보족(锡伯族) 등 민족들이 살고 있다.
특색식품 길림 요리는 인삼, 곰 발바닥, 들꿩, 린면(麟面), 버섯, 개구리 등을 주원료로 사용한다. 창춘시의 절인 야채, 케익, 지린시의 바이로우시에창(白肉血肠), 칭정숭화쟝바이위(清蒸松花江白鱼), 사평시의 리랜구이윈러우따빙(李连贵熏肉大饼), 연변의 조선족 냉명은 모두 칭송이 자자한 지방 음식들이다.
지방문예 길극(吉剧),“이인전(二人转- 두 사람이 춤추며 노래를 주고받는 민간 예술)”.
관광자원 길림성의 백두산은 환태평양 화산대의 일부분으로 화산 폭발 시 생긴 흰색 부석으로 인해 산꼭대기가 사시사철 희게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국가 중점 자연보호구로 선정되고 유네스코로 의해 “인류와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백두산의 최고봉인 장군봉(2,750m)을 비롯해 망천후(2,712m)·백운봉(2,691m)·청석봉(2,662m) 등 높은 봉우리에 둘러싸여 있다. 예로부터 대택·대지·달문지라고도 했으며, 99명의 선녀가 내려와 목욕을 하고 올라갔다는 전설이 있다. 높이가 560m에 이르는 절벽으로 된 화구벽이 호수를 둘러싸고 있다. 호수물은 화구벽이 터져서 생긴 북쪽의 달문을 통하여 흘러내려 비룡 폭포(飞龙瀑布), 창바이 폭포(長白瀑布)를 이루면서 숭화쟝(松花江)의 상류인 만주의 얼다오바이허강(二道白河)으로 흘러간다. 숭화호(松花湖)는 주변환경이 아늑하고 호수가 거울처럼 맑고 작은 섬이 있다. 호수안의 섬인 우후도(五虎島)는 낚시 뱃놀이로 적합하고 여름철 피서지로 유명하다. 겨울에는 숭화쟝 양안의 소나무엔 설화가 만발하여 특히 아름답다. 창춘 시내에 위치한 위황궁(伪皇宫)은 구 만주국 황제의 궁전으로, 청나라 마지막 황제 부의가 만주국 위황제로 있을 때 생활 및 정무를 보았던 곳이다. 지금은 일반인들도 참관할 수 있도록 관광지로 개방되어 있다.
길림성에 있는 조선 민족들의 패션 스타일, 거주 방식은 다른 민족들과 다르다. 명절이 되면 조선족들은 씨름, 그네뛰기, 널뛰기 등 활동을 열기도 한다. 장고(长鼓), 부채춤(扇舞), 물동이춤(顶水舞), 가야금 연주 등은 조선족들만의 전통 문예이다. 또한 냉면, 개고기 요리, 배추 김치 등은 조선족들이 즐겨 먹는 음식으로 세계에서 유명하다. 길림성을 여행하노라면 조선 민족 풍치는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이다.
|
|
|
|
|
|
|
|
|